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파이썬
- 코딩
- 오블완
- dumpdata
- CSS #HTML #코드
- Python
- django
- html #css #코딩 #입문 #코딩시작하기 #코딩입문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비전공자 #비전공 #코딩학원
- dangerouslySetInnerHTML
- CSS
- wecode
- 프리워커스
- comprehension
- listdir
- 위코드
- VSCode
- HTML
- LIST
- loaddata
- 파라미터
- TIL #todayilearn #math #javascript #js #자바스크립트 #절댓값 #최댓값 #랜덤 #random #floor
- 티스토리챌린지
- Web
- vscode설치
- 프로그래밍폰트
- Coding
- 역사
- phython
- SSAFY
- 싸피
- Today
- Total
목록Web (2)
당신의 친절한 이웃, 코딩맨
* HTTP 통신은 요청과 응답을 진행하고, 접속을 끊는다. -- > Connectionless(비 연결 지향) * 그렇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알 수 없다. -- > Stateless (상태 정보 유지 안 함) => HTTP 프로토콜에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이라는 방법이 존재 Session Cookie 브라우저 종료되면 세션 삭제 Key - Value 쌍의 데이터 파일 로그인 했다 치면, sessionid(유니크한 id) 응답 헤더에 포함 쿠키 이름, 쿠키 값, 만료 시간, 전송할 도메인, etc ... 그 이후 클라이언트는 자동으로 위의 id를 요청 헤더에 추가 로그인하면, cookie 발급 --> 이 쿠키로 인증/인가 진행 크롬 개발자 탭 - > Application 탭에서 ..
우리는 도메인에 www.naver.com 을 치고 들어간다. 혹은 www.google.com에 들어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과연 이 사이트들에 들어가는 과정과, 외국의 사이트는 어떻게 접속 할 수 있는 것일까? 기본적으로 사용자 --> 브라우저 서버 먼저 간단한 웹 플로우 1. 사용자의 브라우저로 부터 요청 브라우저에서 ---요청(www.wecode.co.kr)--> wecode서버 2. 서버로부터 브라우에게 응답 서버 --응답-->브라우저 서버에서는 홈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파일들이 저장되어있고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요청을하면 응답으로 이러한 파일들이 담겨있는 웹을 응답해서 정보를 보내준다. ※ 서버? Hosting 홈페이지의 구성파일들(html, css, js)인터넷에 항상 연결되고, 절대 꺼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