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티스토리챌린지
- html #css #코딩 #입문 #코딩시작하기 #코딩입문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비전공자 #비전공 #코딩학원
- 파이썬
- Coding
- phython
- 프리워커스
- comprehension
- CSS #HTML #코드
- wecode
- SSAFY
- django
- dangerouslySetInnerHTML
- Web
- dumpdata
- 오블완
- CSS
- loaddata
- 위코드
- listdir
- vscode설치
- 역사
- Python
- 프로그래밍폰트
- LIST
- HTML
- 싸피
- 코딩
- TIL #todayilearn #math #javascript #js #자바스크립트 #절댓값 #최댓값 #랜덤 #random #floor
- VSCode
- 파라미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3)
당신의 친절한 이웃, 코딩맨
dumpdata와 loaddata 사용방법에 쓰기 앞서, 장고로 협업할 때 필요한 내용들을 먼저 정리한다. 가상 환경을 venv로 하거나 miniconda, anaconda 등으로 할 때 라이브러리나 pip list로 보이는 정보들을 공유하기 위한 명령문들. pip freeze > requirements.txt * pip freeze를 하면 pip list와 비슷하지만 나열 순서가 알파벳 순으로 리스팅된다. 그리고 requirements.txt에 내가 초기에 설치한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들이 덮여 쓰이게 된다. 이후에 변경사항이 생겨도 다시 저 명령문을 입력하면 덮였으이기 때문에 새로 만들어질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gitignore는 정말 자주 까먹는다. 매번 그렇게 안해서 git rm -rf ..
IDE들을 쓰다 보면 폰트가 일반 글꼴과는 다르다 윈도는 -Consolas를 쓰고 mac은 기본값은 또 다른 서체 를 쓰고 있다. 또, Source Code Pro 같은 서체들은 어도비에서 사용하고 있고, 또 다른 것들로 HACK이라는 서체도 있다. 일반 글자들과 프로그래밍 폰트랑 차이점은 일반 글자는 글 폭이 영어 철자마다 다르고, 프로그래밍 폰트는 글폭이 다 똑같다는 점이다. 또한, 프로그래밍 폰트들은, 산스 리프 sansrif를 쓰고 있는데 이는, l i | 1 이렇게 치기만 해도 헷갈리는 영어로 엘, 아이, 파이프, 일 등을 구분하는데 가독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한다. 요즘엔 visual studio code, pycharm 등 통합 에디터들이 워낙 좋아서 큰 차이는 없을 순 있지만, 개인적으로 H..
항상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면 좋겠지만, 어느 날 새로운 컴퓨터에서 그동안 작업했던 파일들을 github에서 막상 pull 당기려고 하니, private이라서 찾을 수 없다고 뜨는 것이다. 해결하기 위해선, git bash를 키거나, 맥북이면 iterm2를 켜서 메인 베이스로 간다. cd ~ 베이스 디렉토리에서 SSH key를 받기 위해, ssh-key gen 을 입력한다. Enter 3번 눌러주면, 사각형에 그림들이 그려져 있는 화면이 나오면서 키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 cd ~/.ssh 해당 경로로 디렉터리를 옮긴 다음 ls 혹은 ls -al 를 입력하여 .pub 으로 시작은 파일을 연다. 여는 법은. cat ~~.pub 이렇게 cat을 이용하여 연다. 그럼 생성된 key를 볼 수있는데, ..
HTML에서 form 태그란? form 태그는 간단하게는 url을 움직이게(action) 을하는 태그이다. 그러면서 method를 GET, POST(요즘에는 response, request를 이 두가지로 가장 많이 한다.) 지정하여 움직일 수 있다. 쉬운 예로, ... USER NAME 이런식으로 유저를 Get으로 요청해서 해당되는 값들을 json형태라던지 xml형태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POST도 당연히 같은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백엔드만 하다가 요즘 다시 간만에 html과 css를 하고 있는데, 파이썬만해서 그런지 낯설다. 하지만 장고를 하다가 와서 플로우가 눈에 보이기 시작해 이해가 예전보다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