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html #css #코딩 #입문 #코딩시작하기 #코딩입문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비전공자 #비전공 #코딩학원
- vscode설치
- 코딩
- wecode
- 역사
- listdir
- dangerouslySetInnerHTML
- 오블완
- django
- 티스토리챌린지
- VSCode
- 싸피
- CSS
- CSS #HTML #코드
- 위코드
- Web
- comprehension
- Coding
- phython
- 파라미터
- Python
- 파이썬
- dumpdata
- TIL #todayilearn #math #javascript #js #자바스크립트 #절댓값 #최댓값 #랜덤 #random #floor
- 프로그래밍폰트
- loaddata
- LIST
- 프리워커스
- HTML
- SSAFY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3)
당신의 친절한 이웃, 코딩맨
1. 가장 먼저 함수는 output으로 리턴한다. 2. 1번은, 함수에서 항상 return 값이 있다는 말과 같다. 3. print 출력만하는 함수는 return값이 없는게 아닌, return을 none 하고 있는 것. 함수에서 Input 값 즉, 파라미터에 대해서... Keyword Arguments 순서에 맞춰서 parameter 값을 전해 주지 않아도 되고, parameter를 지정할 수 잇는 방법들이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미터 전달 방식 def say_hello(name, age): print(f"{name}입니다. 나이는 {age}입니다.") say_hello(박지성, 30) #출력: 박지성입니다. 나이는 30입니다. #Keyword Arguments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X) def..
Cascading Style Sheets HTML과 CSS를 배우고 쓰다보면, HTML보다 CSS가 생각대로 잘 구현되지 않을 때가 빈번하다. 경험을 쌓아가면서 익힌다는 얘기가 있는 걸 보니 나만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평소에 구현하고 기본 문법에 대해서 사용하기 급급했다면, 이번엔 조금 크게 보는 시각을 갖기 위해 CSS의 배경과 정확한 정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CSS는 마크업 언어가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하는 언어이다. 이 마크업 언어로는 XHTML과 HTML가 주로 있다. CSS는 레이아웃과 스타일을 정의할 때의 자유도가 높다. ※ 레이아웃은 CSS의 속성들로 구성할 수 있는데, display속성이 주로 쓰인다. ※ ※ Display 속성들에는 inline이랑 block, inlin..
'보통 역사는 되풀이된다고들 한다.' '과거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고 한다.' 그래서 난 새로운 지역을 갈때, 그 지역의 역사를 알아보러 박물관에도 가곤 하는데, HTML을 하다 보니, 어떻게 생겨났는지, 과거엔 어땠는지 문득 궁금해졌다. 생각보다 HTML의 원형은 물리학자가 제안했다. 팀 비너리스라는 물리학자가 CERN(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에서 연구하던 당시 HTML의 원형인 인콰이어를 제안했다. 인콰이어는 CERN의 연구원들이 문서를 이용하고 공유하기 위한 체계였다. 그러던 중 1989년 (정말 최근이다) 팀 버너스리는 인터넷 기반 하이퍼 텍스트 체계를 제안하는 메모를 작성했다. 하이퍼텍스트는 독자가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주로 컴퓨터나 다른 전자기기에 표시된다. 1..
-- Position CSS 스타일링에서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포지션 상태를 static이라고 한다. > position: relative relative로 스타일링을 하게 되면, top, bottom, left, right로 값을 지정해주면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이동의 기준은 지정해주는 위치로부터 움직인다. 예) top: 10px --> 위에서부터 아래로 10px 움직인다. top: -10px --> 마이너스 10픽셀 이기 때문에 위와 반대로 위로 10px 움직인다. > position: absolute absolute의 직관적인 말 뜻처럼, 절대적인 위치를 포지셔닝 할 수 있다. 이때, 포지셔닝의 위치는 상위 태그, (그 위의 상위 태그가 없을 때는, body태그가 된다)의 position: st..